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약물학/약리학] 알코올(일)/술에 취하는 원리/소음주운전 단속의 원리/알코올의 대사/알코올 독성/에탄올 대사/알코올중독/알코올성 지방간/알코올 금단 증후군/ADH/ALDH/MEOS 알아봐요
    카테고리 없음 2020. 2. 10. 21:26

    by. 코미


    >


    대학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새로운 반(신입생 OT같은 반)이니, 동아리니, 고등학교 동기니, 정말 많은 술자리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아요. 물론 그 동안 몸이 참아 주지 않는 수준에 도달하고 매우 최근에는 나이에 마시고 1이 손에 꼽지만 말입니다. 다른 약과 달리 내 몸에 직접 적응을 많이 해 본 약이라 그런지 배우는 내내 "아, 그래서 그랬구나!와 진짜 마시면 안 되겠네. 응, 친구가 이 정도까지 가면 바로 마셔야지. 처럼 여러 가지 소견이 있는 약물학 시각이었습니다. 사실 알코올이 우리 생활에 친근(?)한 것과 달리 정확한 작용 기지는 아직 미지의 영역이다. 그래도 지금까지 파악된 사실만으로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러분, 궁금증을 해결하러 가보세요.


    >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술은 에탄올 수용액이다. 도수가 에탄올(C2H5OH)함량을 자기 손으로 만들려는 지표로 그 값이 커질수록 물의 비중은 줄고 에탄올의 양은 언제나 그랬듯이어자 신입니다. 알코올이란 원래 화학적으로 알코올기(-OH)이 주요 작용기 화합물을 1콧눙 이야기지만, 편의상 에탄올을 알코올이라는 포효은과 혼용하도록 해겟슴니다. ​ 1)약 동학 ① 흡수 에탄올은 크기가 작은 수용성 분자이기 때문에 위와 소장에서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슴니다. 어느 정도 빠르면 공복 상태에서 먹으면 30분 만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새우의 맛있는 음식(특히 유제품이 자신의 고지방 식품)을 함께 먹으면 위장 체류가 가끔 길어지고 흡수가 늦어지기 때문에 안주를 천천히 먹겠다는 의지 표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빨리 취하려고 안주 없이 캔술을 마시는 행동을 언론에서 접한 적이 있는 걸 보면 아마 다들 경험적으로 알고 있을 거예요.2분포도 무척 빨리 댑니다. 뇌, 심장, 간을 불문하고 전신의 체액에 분포되어, 빠른 평형 상태에 이릅니다. 같은 양을 마셨을 때에 비해 총체액량이 적고, 첫 회 허가대사가 적은 여성이 남성보다 혈중 최고 농도가 더 높습니다.​ ③ 대사와 베솔몸 중에 들어온 알코올의 90퍼센트 이상이 사이에서 대사이며 자신의 멀리는 폐와 소변을 통해서 배출합니다. 기숙사에살다보면술한잔마시고온룸메이트들덕분에다음날오전에방공기에주류가꽉차있는느낌을받은적이있나요? 여기서 간대사가 안 되고 다 나를 괴롭히는 룸메이트가 자신의 인권인 비밀.술 취한 주위에서 술을 적당히 매운 냄새라는 것을 맡은 것은 분명 있을 것입니다. 도로에서 갑자기 소음 음주운전 단속이 이뤄질 때 후 부는 것만으로 술을 마셨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도 폐를 통해 배출되는 양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도, 술집 화장실에 가보면 냄새...(줄임) 그래도 역시 알코올 대사의 주인공은 간이기 때문에 그 경로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사이의 에탄올 대사 경로 하나 발죠크으로 평범한 성인이 시각당'7~하나 0g(하나 50~220mmol)=약 한잔의 술'의 알코올을 대사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것이 미국인 기준이라 체격도 작고 알코올 대사 효소 양도 국항잉은 시각당 한잔도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보면 됩니다. 대체 어느 놈들이 담당했길래 이렇게 늦었을까요? 3종류의 효소 ADH, ALDH, MEOS가 그 범인입니다.(1)알코올 가면 수소 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는 한편 반적인 형세에서 에탄올이 몸에 딱 부에 들어갔을 때 가장 우세한 경로입니다. 간세포의 책인 장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며, NAD+의존적으로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시킵니다. 농도와 관계 없이 우두머리가 계속해서 처리되는 0차 반응인데 한 정량을 넘으면 포화되는 대사 과정입니다. NAD+를 소비하여 NADH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독성이 자세하게 쓰여지지만, 유산혈증이 본인의 저혈당 같은 대사장의 아이를 하나로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또 ADH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술에 취했을 때 생기는 모든 불쾌한 증상(안면홍조, 메스꺼움,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 ADH에 대한 정보를 담은 유전자도 같은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대립 형질이 다른 일이 있는데 하나부 민족이 너무 너무 한가지 처리가 파릿파릿한 ADH를 만들어 내ADH한 B*2대립 형질이 일반적으로 관찰됩니다. 에탄올이 몸에 들어오면 재빨리 아세트알데히드가 되어 버리므로, 술을 마시는 것은 꽤 본인의 고통일 것입니다. 네,이인종은빨리민족한인이속하는동아시아인으로,그들로부터어디까지본인은상대적으로알코올의존성이낮고,본인타본인은이유로꼽히고있습니다.​ ⑵ 미소체 에타노ー루상화기에(MEOS,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복합 기능화 효소계(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으로도 불리는 이 친구는 에탄올의 농도가 하나 00mg/dL을 넘어 가면 ADH만이 잘 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작용하기 시작한다. 명칭이 계(system)인 이유는 간의 대표적인 효소인 시토 크롬 P450중 2E하나하나 A2,3A4이라는 세 종류의 아형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ADH와 마찬가지로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시키지만 NAD+가 아닌 NADPH를 소모한다.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짓게 되면 MEOS의 활성이 유도됩니다. 즉, MEOS를 구성하는 효소(CYP2E하나하나 A2,3A4)씨가 많아지는 것이니 이 효소에 의해서 제거되는 약물이 약효를 잃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겠지? 또, 시토 크롬 P450반응이 거세지면서 독성 부산물(자유 라디칼, H2O2, 독소 등)이 많이 만들어지고 아무튼 잘 먹으면 원래 몸에 좋지 않은 술이 더 없을 죠쯔스프입니다. (3)알 디 하이드 가면 수소 효소(ALDH, Aldehydedehydrogenase)이미 소개한 두개의 효소는 세포질에서 에탄올 → 아세토알데하이도 반응을 촉매 하고 있었지만, 아세토알데하이도에서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하는 과정은 ALDH에 의해서 NAD+의존적으로 실행됩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아세테이트는 co2와 물로 대사 도에고 본인 아세틸-CoA발생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세포질에 있는 ADH와는 달리 ALDH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것입니다.여기서 다시 등장하는 기막힌 유전자 이야기! 이 정도면 누군가 국한인은 술을 마시면 안 된다고 공지해 준 수준입니다. 히가시 아시아기에 사람들의 한부에서 ALDH2유전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ALDH의 활성이 유전적으로 없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방금 내용대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쌓이는 체질이라면 얼굴이 빨개지고 토하고 현기증이 나서 술을 마시는 것이 싫증이 나게 됩니다. 내 견해로는 나도 여기에 속해 있는 것 같다. ALDH 활성이 없다는 것은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염으로 해독하는 아이가 없다는 뜻이므로 알코올 중독에 빠지기 전에 스스로 술과 인연을 끊는 경우가 많습니다. ALDH를 저해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이러한 형세를 만들어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방법도 있으니까요. 그 방법에 대해서는 이번에 가서 내용 쓰겠습니다.


    2)작용 전 최근까지 연구된 것만으로는 제대로 알코올의 작용 구조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다만 잘 박은(?)인과를 할 수 있지만 우선(1)GABA수용체에 직접 작용하고 그 기능을 항진시킵니다. GABA 수용체는 신호 전달에 있어서 억제성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반대로(2)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글루탐산 수용체에는 직접 작용 칠로 억제하고 버립니다. 그래서 중추신경계에서 억제 담당은 도와주고 흥분 담당은 막아주기 때문에 침착하고 행동이 느려지는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역시 일글루탐산수용체 중에서도 NMDA수용체라는 하위분류가 있으며, 원래는 기억을 담당하는 아이라 이것이 억제되어 일시적인 기억상실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술을 마시다가 필름이 끊어진 분들은 얘를 탓해주세요. 마지막으로 에탄올과는 분자가 탄화 수소 측은 소수성 알코올기 측은 친수성을 갖다. 양성 물질이므로(3)신경 세포의 세포막에 끼어들어 지질 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세포가 제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뇌세포가 일을 못하면 판단이 흐려지겠죠?


    3)급성 독성, 급성 독성과 쓰고 평범한 누군가가 술을 마실 때 일오쟈 신 것이라고 읽습니다.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계속 복용하면 MEOS 유도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 변화에 따라 자신에게 효과도 달라지기 때문에 이는 만성 독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1중추 신경계 전반에 중추 신경계가 억제되는 작용이 일어나지만, 이는 용량 의존적이다. 많이 마실수록 더 빨리 간다는 소 sound다. 향후 포스팅에서 진정 수면제를 다루면 말씀드릴 텐데, 진정 작용이 있는 약 중에서도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은 아무리 많이 투약해도 진정→수면→마취 단계까지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알코올은 마취 단계를 넘어 진정수면마취혼수까지 갈 수 있는 무서운 약물이다. 물론 혼수 상태는 사망과도 직결될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후술하는 내용에 사용되는 저용량, 중간용량, 독성용량의 기준은 알코올에 내성이 없는 사람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값으로 이후와 같습니다.저용량 50~일 00mg/dL중간 사이즈 한 00~200mg/dL, 고용량 200~300mg/dL독성 용량 300~400mg/dL치사량>400mg/dL​ 술자리의 초반은 들떠서 번화합니다. 저용량부터 중간용량까지는 억제성 중추신경경로가 억제되고 정예기 오히려 탈억제(disinhibition)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신경신호의 스위치를 끄는 억제 경로가 끊기는 것은 분명 알코올은 진짜 약물이지만 정예기는 오히려 흥분되는 원리다. 거기서 더 마시면(중간용량~독성량) 진정작용이 자신감에 차올라 다들 느릿느릿 잠이 드는 사람도 속출합니다. 거기서도 주체가 되지 못하고 독성 용량을 초과해 버리면 마취 효과가 자신에게 맞고 호흡이 저하되어 버립니다. 급성 독성이 발발하면 호흡 억제에 의한 사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아세트알데히드 독성에 의해 구토 중에 기도가 막혀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나쁘지 않아도 적당히 마시고 인생을 책임질 생각이 아니라면 이제 먹는다는 사람에게 절대 먹이지 않도록 합시다. 아까 동아시아인의 유전형 예시를 기억하시죠?2기타 중간 용량의 에탄올을 섭취하면 예기 풀에 있는 피부의 혈관이 펼쳐진답니다. 안면홍조, 사람에 따라서는 피부에 홍조가 타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혈관이 확장되면 열이 빠지고 자신감이 표면적도 넓어지기 때문에 방사열에 의한 열손실이 커지게 됩니다. 겨울철에 술을 마시고 밖에서 잠을 자면 그 이로운 추위에 열은 술술 빠져나가 저체온증이 일어나 자신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너무 궁금한 게 안면홍조가 나를 드러냈을 때 왜 보는 것 만, 어떤 눈 주변만, 어떤 얼굴이 다 빨개지는 걸까요? 피부 두께의 부위별 편차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일까요? 저는 뽑기 운이 좋은지 겉보기만 붉어지고 안면홍조는 무시하고 마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주제로는 어떤 사람에게 굳이 연구해 달라고 권하기도 좀 그렇지요. 차기 이그노벨상 수상을 노리는 분이 계시다면 부탁드립니다.그 밖에도 에탄올의 급성 독성은 이뇨 작용, 자궁 평활근 이완 작용, 심근 수축력 저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자궁수축이 분만 시점보다 빨리 찾아오면 조산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대체 가능한 자궁 이완 약물이 개발되기 전에는 무려 에탄올을 산모에게 정맥 주사하여 조산을 억제했습니다. 임산부에게 전면 금주를 권하는 요즘부터 보면 충격적인 처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만성 독성 에탄올이 정말 아이 로니항 것이 사실은 다른 마약성 약물에 비하면 효력이 약해서 중독이 생성할 때까지 섭취해야 하는 양이 너무 너무 봉잉게 많은 편입니다. 얘가 다른 약물처럼 정량 복용한다면 절대적으로 생성하지 않는 비극이지만 약물이라고 부르기 뭐할 정도로 많이 먹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독도 본인이 탄 인과입니다. 한마디로 안에는 약한 놈인데 너무 많이 먹어서 만성독성에 직면한다는 거죠. 무서운 알코올 만성 섭취 결과를 한 번 봅니다.


    >


    ①시간 내의 에탄올은 대다수(90%)이 중간에 의해서 대사 나루토 과로한 간이 마치 그와잉눙도 당연합니다. 만성적인 알코올 식사에도 과다한 이름의 초기가 있는 것이 아닙니까? 이때는 가역적인 지방간이 형성됩니다. 가역적이라는 것은 지금이라도 정신 바짝 차리고 마시면 (하나의 운동도 병행하면 더 빨리)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희망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지방간이라는 이름답게 원래는 혈류량이 많고, 선홍색인 인간에게 지방이 듬뿍 붙어 노랗게 물들게 됩니다.그런데 여기서 모두 멈추면 제가 계속 무서워하는 당위성이 떨어질 겁니다. 더 마시면 간에 염증유발세포가 침투해 간염(hepatitis)이 발생하고 이제 돌이킬 수 없는 비가역 상태가 됩니다. 간염의 다음은 염증이 너무 반복되어 간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간섬유화(fibrosis), 섬유화가 심해지고 작은 덩어리인 결절이 발생하는 간경화(cirrhosis), 변형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간이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간경화(liver failure)까지 차례대로 진행됩니다. 내가 갖는 간장이 간에서는 사라진 간 부전의 치료법은 간 이식 만입니다.2위장 관계 췌장의 샘 움켜잡고리 세포(acinar cell)에 알코올이 직접적으로 독성 작용을 할 테니 만성 췌장염의 원인이 도에프 봅니다. 역시 위염이 발생하기 쉽고 알코올이 소장에 손상을 주고 영양분의 흡수가 저해되므로 설사와 과도한 체중감소, 비타민 결핍이 발생합니다. 2차적인 독성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알코올 중독 환자는 식사를 걸러서 술을 찾기에 가득한 이관 영양 결핍인 경우가 많지만, 위장관 흡수 장 아이까지 겹친 것에 심각한 비타민 결핍이 일반적으로 발생합니다.3신경계 장시간에 걸쳐서 고용량에서 알코올을 식사하면 내성과 함께 신체적, 감정적 의존성이 한 입 하나로 됩니다. 분자적인 메커니즘은 확실하지 않지만, 알코올 중독자가 강제로 양을 줄이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 금단증후군이 과인타과인함으로써 분명히 신체적 의존성이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성이 과도하게 나타난다고 해서 아무리 많이 마셔도 취하지 않고 가벼워지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내성이 생기는 데도 한계가 있어 치사량은 약간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과도한 알코올 복용에 의한 사망의 위험은 절대적으로 사라지지 않습니다. 알코올 금단 증후군이 경증인데, 때론 과인 다인 고, 중증이 되면 경련, 정신병, 선전 섬망(delirium tremens)이 발생합니다. 진전섬망이란 전신에 걸쳐 심한 떨림(진전)과 갑작스런 의식적 갈등과 단절(섬망)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감정적 의존성은 특정 장소과의 사람을 만날 때 보상감정에 의해 술을 마시고 싶어지는 귀취로, 아마도 이러한 보상감정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세로토닌, 내인성 오피오이드 등이 관련되어 있다고 추측됩니다. 식욕 조절을 담당하는 뉴로펩타이드의 NPY(NeuropeptideY)와 그렐린(Ghrelin),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비가 증가하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등도, 에탄올 식을 갈망하는 감정에 관계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위장관과 마찬가지로 알코올은 신경에 직접적인 독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신경 독성은 전신 대칭성이 귀 없는 초신경 손상으로 과인해집니다. 손발의 감각 이상으로 시작되어 심해 택지의 보행 장애아와 조화운동의 무능을 유발합니다. 조화운동 불능이란 자기 몸을 자기 마음대로 가누지 못하는 귀취를 의미합니다. 드물게 알코올성 치매 신경세포의 액손을 입은 수초가 만나는 가면 수초(demyelinating) 질환도 발생합니다. 벨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drome)는 우에앙궁 신경 마비, 혼수 나 죽 소음으로 진행되는 혼동 상태가 특징입니다, 알코올 중독에 의한 티아민(비타민 B1)의 결핍이 원인입니다. 티아민 투여 시 즉시 증상이 과잉되지만 대부분의 환자에게는 코르사코프 정신병(Korsakoff's psychosis)으로 알려진 만성적인 기억불능 장애가 남게 됩니다. 몇 주 이상 알코올을 과량으로 식사하면 두 눈의 시야가 흐려지는 시력 저하가 과잉일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은 메탄올 식사 때 더 빠르고, 소량이라도 극단적으로 과인타과인기에 그제서야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4심혈관 아까의 에탄올의 급성 독성에서 심근 수축력이 저하한다는 것 기억과 과민인가요. 심근 수축력이 저하되어 우리 몸은 보상적으로 심실 비대와 섬유화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른 알코올성 확장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확장심근병증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단, 소음주를 끊으면 심장 크기가 감소하여 기능이 개선된다고 하므로 즉시 끊지 않으면 안 되겠네요.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과소음이 되는 환자에게서는 심방성 부정맥, 심실성 부정맥, 고혈압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알코올 금단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는 심한 부정맥이 과인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쪽에서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이 계실 겁니다. 확실히, 적당한 소음주 중심으로 "하루 한잔의 와인이 "이라는 표범으로 알려진)는 관상 동맥 질환을 예방합니다,라는 이 말을 어디 선지 들은 게 있는데, 이 얘기죠.


    >


    에탄올을 적당히 마시면 동맥경화증을 억제하고 일명 착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HDL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여 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염증 반응의 일부를 억제한다는 역학적인 연구의 증거가 있습니다. 역시 어떤 적포도주에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비롯한 항산화물질이 있어 효과가 더 높다는 스토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결코 저렴하지 않기 때문에 의학적인 연구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무작위 임상시험(RCT, Randomized Clinical Trials)은 아직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증거가 충분하다고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갑자기 끊긴 느낌이라면 정확해요! 아직 에탄올의 만성독성만 해도 다섯 가지 항목이 남아 있는 정세인데 에탄올,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설명을 다 끝내려고 화려하게 시작한 문장 만들기가 결국 한계에 부닥쳐 이 이야기였습니다. 천천히 공부하면서 쓰기를 포기하고 굳이 한글로 다 끝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탄올의 만성독성 과잉잔재와 알코올중독 치료, 메탄올 해독법,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는 앞으로 종종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자리는 아래 링크입니다!https://blog.naver.com/hafs_snu/221757951169​


    참고 문헌-20하나 9학년도 2학기 서울대 약학 대학 약물학 2이승희 P Ch23수업 자료-각 질환별 지식 백과 항목-약물학 하나 4판



    댓글

Designed by Tistory.